유방클리닉
풍부한 진료 및 수술 경험을 갖춘, 유방 갑상선 외과 전문의
Breast disease pattern
유방의 질환 양상
유방통
Breast pain
유방통은 유방클리닉을 찾는 환자들의 가장 흔한 3대 증상 중의 하나입니다.
유방통은 월경 주기와 관련된 주기성 유방통과 월경 주기와 무관한 비주기성 유방통으로 나뉩니다. 특히 이전에 없던 유방통이 최근 발생하면 유방암이 아닌지 걱정되어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기성 유방통의 원인으로는 체내 수분 저류, 스트레스, 카페인 과다 섭취, 동물성 지방 과다 섭취, 필수 지방산 섭취 부족, 특정 호르몬(에스트로겐, 프로락틴, 생식선 자극 호르몬)의 과다 분비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기는 어렵습니다.
비주기성 유방통은 주로 한쪽 유방에서 발생하며, 유방 자체에서 유래한 통증 외에도 늑연골염, 어깨 질환, 경추부 신경근통, 역류성 식도 질환, 피부 질환, 허혈성 심질환, 담낭 질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감별 진단이 필요합니다.
유방암 환자에서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는 5~24% 정도로 비교적 드뭅니다. 그러나 월경과 관계없이 평소와 다른 유방 변화가 함께 나타난다면 유방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예방적인 차원에서라도 유방외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현명합니다.
유방종괴


유방에 멍울이나 혹이 만져지는 증상은 유방암의 가장 중요한 증상입니다.
다만, 유방에서 종괴가 만져진다고 해서 반드시 유방암은 아닙니다. 섬유선종이나 섬유낭종과 같은 양성 질환인 경우가 많지만,
만져지는 종괴가 있을 경우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방암

섬유선종

유선염

유두종
유두분비물
Nipple discharge
유두분비물 ! 유방외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으실 것을 권고드립니다.
유방 내 질환에 의한 경우로는 유관내 유두종, 유선관 확장, 유방암, 감염에 의한 염증 등이 있습니다. 유두주변 또는 유두만을 국소적으로 누르거나 잡아당기거나 입으로 빨 때 유두에서 유즙(젖물)이 나오는 증상이며 이렇다 할 자극도 없이 저절로 나오기도 합니다. 특히 피가 섞인 분비물(혈성 분비물)이 있는 경우, 유관내 유두종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으며, 해당 유관과 함께 종양을 제거해야 해결됩니다.
유두분비물의 종류
선홍색/적갈색
유방암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유방암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녹색/회색
유관확장증과 같은 양성 유방 질환이 원인이 되어 나타납니다
노란색/무색투명
유방암의 가능성이 있기에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약물복용이나 뇌하수체 종양과 관련이 있는 경우도 있으며 전문의의
진찰 소견과 영상학적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종합적인 소견이 중요합니다.
유방 내 질환에 의한 경우로는 유관내 유두종, 유선관 확장, 유방암, 감염에 의한 염증 등이 있습니다. 특히 피가 섞인 분비물(혈성 분비물)이 있는 경우, 유관내 유두종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으며, 해당 유관과 함께 종양을 제거해야 해결됩니다. 유두 분비물의 대부분은 생리적인 현상이나 양성 질환에 의해 발생하지만, 유방암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 정확한 감별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방피부변성

유두함몰, 유두의 습진성 변화
유두 함몰은 유두 아래에 악성 종양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유두 및 유륜의 습진성 변화는 파제트병과의 감별이 필요하므로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해야 합니다.

유방의 피부변화
유방 피부에 발적, 단단함, 피부 함몰, 피부 궤양, 피부 결절 등이 나타나고 이러한 변화가 지속된다면 유방암 감별을 위해 전문의의 진료 및 검사가 필요합니다.

겨드랑이 종괴
2~3주 내에 호전되지 않는 겨드랑이 멍울은 악성 질환 또는 기타 염증성 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하므로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